인물·사건별 사적지
세계 곳곳의 ‘독립운동사적지’를 찾아보세요!!
홈 > 인물·사건별 사적지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통합검색
※ 인물ㆍ단체ㆍ사건 및 사적지명ㆍ주제어을 자유롭게 검색하신 후, 관련 국외독립운동 사적지를 살펴보세요.
선택하신 초성 < ㅂ > 에 대한 사적지는 총 98 건입니다.
번호 | 국가 | 사적지명 | 설명 |
---|---|---|---|
27 | 인도네시아 | 고려독립청년당 반둥지구당 터 (자바포로수용소 제1분소) | 반둥포로수용소 제1분견소에서 근무하던 김만수ㆍ조남훈 등이 간접반항의 본보기로 포로들의 외부연락을 담당하였으며, 음식을 제공하여 영양실조에 걸린 화란계 포로들을 .. |
26 | 중국 | 군사통일주비회 개최지 (삼패자화원) | 베이징에서 개최된 군사통일주비회(軍事統一籌備會)는 독립전쟁을 우선적인 방략으로 결정한 회의였다. 군사통일회의는 개최에 앞서 군사통일촉성회(軍事統一促成會)가 조.. |
25 | 중국 | 닝안 발해농장 터 | 백산무역주식회사(白山貿易株式會社)를 설립하여 독립운동 자금모집 활동과 『중외일보』를 통해 언론활동을 전개하던 안희제는 일제의 단속이 점차 심해지자 가산을 정리.. |
24 | 미국 | 덴버 박희병·박용만 활동지 | 박희병과 박용만이 한인 유학생들을 비롯해 광산 노동자들의 노동과 생활을 지도하기 위해 1906년 1월부터 운영했던 곳이다. 이곳에서 한인 경찰의 업무까지 수행하였다. .. |
23 | 중국 | 룽징 3.13독립만세시위 기념비 | 북간도지역 한인들은 3·13독립만세운동으로 일제침략을 규탄하고 민족의 독립의지를 표출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기반에는 학생과 교사, 즉 민족교육기관의 역할이 매우 컸.. |
22 | 중국 | 류허 부민단 제2구 본부 터 (삼원포) | 부민단은 중앙과 지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지방의 경우는 천가장ㆍ구장ㆍ패장 등으로 호(戶)의 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구의 경우 각 구의 임원으로 고문ㆍ단총.. |
21 | 중국 | 류허 부민단 제3구 본부 터 (대두자) | 부민단은 중앙과 지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지방의 경우는 천가장ㆍ구장ㆍ패장 등으로 호(戶)의 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구의 경우 각 구의 임원으로 고문ㆍ단총.. |
20 | 중국 | 미산 무관학교 터 | 봉밀산은 밀산벌 동남쪽 흥개호 연안에 있는 해발 574m의 산으로, 1913년 이승희와 이상설의 후원으로 밀산무관학교가 설립되었다. 1914년에는 홍범도가 이곳에서 교관으로.. |
19 | 중국 | 바오딩 무정 활동지 (육군군관학교) | 보정 육군 군관학교는 1912년부터 1923년까지 총 9기의 학생들을 졸업시킨 당시 중국에서도 비교적 규모가 큰 군사학교였다. 이 학교의 전신은 1902년 위안스카이가 설립한.. |
18 | 중국 | 베이징 신채호 거주지 (금시방가) | 베이징(北京)에서 활동하던 신채호(申采浩)는 상하이(上海)로 이동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1919년 4월 열린 제1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 국무총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