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사적지
세계 곳곳의 ‘독립운동사적지’를 찾아보세요!!
홈 > 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사적지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통합검색
※ 인물ㆍ단체ㆍ사건 및 사적지명ㆍ주제어을 자유롭게 검색하신 후, 관련 국외독립운동 사적지를 살펴보세요.
선택하신 초성 < ㅈ > 에 대한 사적지는 총 224 건입니다.
번호 | 국가 | 사적지명 | 설명 |
---|---|---|---|
42 | 독일 | 재독한인회 사무실 및 이극로 거주지 1 | 1923년 10월 26일 독일에 거주하는 한인들이 ‘독일에 있는 한인들의 위대한 회의(Great Meeting of Koreans in Germany)’를 개최한 장소이다. 관동대진재 때 일제가 저지른.. |
41 | 미국 | 재미한인50년사 발간지 | 김호는 미주지역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중 한 명이다. 그는 1930년~1935년 독립운동이 지리멸렬할 때 새로운 지도자로 부상하였다. 김호는 민주적인 좌우합작 체.. |
40 | 미국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워싱턴 사무소 터 | 1941년 4월 호놀룰루에서 개최한 해외한족대회에서 미주한인의 독립운동을 위해 설립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는 독자적인 선전외교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1944년 6월 10일 워.. |
39 | 러시아 | 전로한족회대표자회의 개최지 및 전로한족중앙총회 결성지 |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연해주지역의 한국독립운동은 침체되었다. 러시아는 일본과 동맹관계를 맺으면서 요구사항이었던 자국 내 한인의 활동에 제한을 두었.. |
38 | 러시아 | 전로한족회중앙총회 및 청구신보사, 한인회관 건물 | 고려족 중앙총회는 1917년 11월 자나드로봅쓰까야 15번지에서 주소를 동거리 31번지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고려족 중앙총회의 기관지를 발행하던 청구신보사도 이곳에 두었.. |
37 | 중국 | 전장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 거주지 (공익리) |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2년 상하이(上海)를 떠나 항저우(杭州 )와 자싱(嘉興)에서 약 2년간 머물다가, 일제의 중국 침략이 노골화되면서 다시 전장(镇江)으로 이전하였다. .. |
36 | 중국 | 전장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전시관 (목원소학교 터)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요인 및 가족들은 항저우(杭州)를 떠나 전장(鎭江)으로 이주했다. 이주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1935년 11월 이후로 보인다. 전장지역에는 임시정부 .. |
35 | 카자흐스탄 | 정치적 탄압으로 희생된 자들을 위한 기념비 | 이 기념비는 강제이주 된 고려인과 체첸인 등 정치적으로 탄압을 받은 민족을 기리기위한 목적으로 세워졌다. 주 카자흐스탄 한국대사관의 이영민 대사가 주도하여 한국 정.. |
34 | 네덜란드 | 제2회 만국평화회의 개최지 | 이상설을 정사(正使)로 하고 이위종ㆍ이준을 부사(副使)로 한 세 명의 한국특사가 헤이그에 도착한 것은 1907년 6월 25일로, 이들이 헤이그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열흘 전.. |
33 | 멕시코 | 제물포(인천) 거리 | 멕시코 이민이 처음 시작된 ‘제물포(인천)’를 기념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메리다시가 2007년 10월 15일 자매결연을 맺고, 그해 12월 11일 제물포 거리에 대한 유래를 스페.. |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1 2 3 4 5 6 다음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