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사적지
세계 곳곳의 ‘독립운동사적지’를 찾아보세요!!
홈 > 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사적지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통합검색
※ 인물ㆍ단체ㆍ사건 및 사적지명ㆍ주제어을 자유롭게 검색하신 후, 관련 국외독립운동 사적지를 살펴보세요.
선택하신 초성 < ㅈ > 에 대한 사적지는 총 224 건입니다.
번호 | 단체 | 국가 | 사적지명 | 설명 |
---|---|---|---|---|
60 | 조선의용대(군) | 중국 | 구이린 《조선의용대통신》 연락처 (신지서점) | 1938년 10월 10일 후베이성(湖北省) 우한(武汉)에서 창설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는 중국 관내 지역에서 최초로 조직된 한인 무장단체였다. 조선의용대는 본대와 각 지대.. |
59 | 조선의용대(군) | 중국 | 구이린 조선의용대 본부 터 (동녕가) | 1938년 우한(武汉)에서 창설된 조선의용대는 우한이 일제에게 함락되자 중국군사위원회 서남행영(西南行營)의 소재지인 광시성(廣西省) 구이린(桂林)으로 이동하였다. 구이.. |
58 | 조선의용대(군) | 중국 | 구이린 조선의용대 본부 터 (시가원) | 1938년 10월 10일 후베이성(湖北省) 우한(武漢)에서 100여 명의 인원으로 창설된 조선의용대는 중국 관내지역에서 활동했던 대표적인 한인 무장단체였다. 한중연대를 구축.. |
57 | 조선의용대(군) | 중국 | 라오허커우 조선의용대 제2구대 활동지 (중산공원) | 노하구지역에 파견된 조선의용대의 활동 가운데 주요한 것이 선전활동이었다. 조선의용대의 선전공작은 일본군 병사들에게 일제가 반드시 패한다는 이치를 선전함으로써 반.. |
56 | 조선의용대(군) | 중국 | 뤄양 조선의용대 도하지 (맹진나루 터) | 1938년 10월 10일 무한에서 결성된 조선의용대는 계림ㆍ장사ㆍ형양ㆍ남창ㆍ노하구ㆍ낙양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40년 초 본부를 중경으로 이전한 뒤 11월 4일 확대간부회의.. |
55 | 정의부 | 중국 | 류허 동명학교 터 | 기독교계의 대표적 학교인 동명학교(東明學校)는 한경희(韓敬禧) 목사가 설립하였다. 그는 1914년에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만주에서 선교사업을 담당하였다. 그해 10월 싼.. |
54 | 정의부 | 중국 | 류허 정의부 본부 터 (삼원포) | 1924년 11월 24일 화전현에서 전만통일대회 개최 후 정의부가 조직되었다. 1925년 3월 초 정의부에서는 화전현의 임시행정집행위원회를 폐지하고, 중앙행정위원회와 중앙조.. |
53 | 정의부 | 중국 | 민족유일당조직촉성회의 개최지 (대동농장 터) | 1928년 민족운동가들은 독립운동을 결집하기 위해 민족유일당을 설립하고자 하였다. 민족유일당을 설립하고자 했던 촉성회의는 처음에는 호란집창자(呼蘭集廠子, 호란진(呼.. |
52 | 조선공산당재건동맹 | 중국 | 베이징 레닌주의정치학교 터 | 1929년 상해에서 활동하던 의열단은 본부를 북경으로 이전하였다. 김원봉은 동년 5월 《레닌주의》를 창간하는데 이어 12월에는 부성문 인근 동4조호동에서 안광천, 박건웅.. |
51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 미국 | 샌프란시스코 한인국방경위대 훈련지 | 태평양전쟁 기간에 캘리포니아주 경위군에 한인중대가 별도로 편성되어 활동하였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는 캘리포니아주 경위군과 협의하여 한인 남자 18세부터 65.. |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1 2 3 4 5 6 다음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