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사건별 사적지
세계 곳곳의 ‘독립운동사적지’를 찾아보세요!!
홈 > 인물·사건별 사적지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통합검색
※ 인물ㆍ단체ㆍ사건 및 사적지명ㆍ주제어을 자유롭게 검색하신 후, 관련 국외독립운동 사적지를 살펴보세요.
선택하신 초성 < ㅇ > 에 대한 사적지는 총 412 건입니다.
번호 | 인물 | 국가 | 사적지명 | 설명 |
---|---|---|---|---|
210 | 윤봉길 | 일본 | 가나자와 윤봉길 유해 송환역(가나자와역) | 윤봉길 의사의 유해는 1946년 3월 6일 가나자와에 있던 조선인 청년들에 의해 발굴되었다. 이들은 5일간에 걸쳐 유해를 발굴한 후 가나자와에 있는 재일조선인총연합회 사.. |
209 | 윤봉길 | 일본 | 가나자와 윤봉길 유해 안치소 터 | 1946년 3월 서상한 대표를 비롯한 ‘임시정부유해발굴단’은 가나자와에 거주하는 재일 한인들의 도움으로 윤 의사의 유해를 발굴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때 현지 발굴단의 조.. |
208 | 안병무 | 중국 | 광저우 전선일보사 터 | 《전선일보(前線日報)》는 중국 중앙군 제3전구 사령관청에서 발행한 신문이다. 1942년 당시 사장은 마수례(馬樹禮)였으며 부사장 겸 주필은 이향(宧鄕)이었다. 안병무(安.. |
207 | 이육사 | 중국 | 광저우 중산대학 (신항서로) | 1924년 1월 국공합작 결의안이 통과되자 쑨원(孫文)은 국민혁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그해 2월 국립광동고등사범학교·광동공립법과대학·광동공립농업전문학교.. |
206 | 이영준 | 중국 | 광저우 중산대학 (신항서로) | 1924년 1월 국공합작 결의안이 통과되자 쑨원(孫文)은 국민혁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그해 2월 국립광동고등사범학교·광동공립법과대학·광동공립농업전문학교.. |
205 | 이활 | 중국 | 광저우 중산대학 (신항서로) | 1924년 1월 국공합작 결의안이 통과되자 쑨원(孫文)은 국민혁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그해 2월 국립광동고등사범학교·광동공립법과대학·광동공립농업전문학교.. |
204 | 양림 | 중국 | 광저우 황포군관학교 | 1924년 6월 6일 제1차 국공합작의 산물인 황포군관학교가 설립되었다.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는 소련의 자금과 무기를 지원받아 설립한 소련식 사관학교이며 정식명칭.. |
203 | 윤동주 | 일본 | 교토 윤동주 거주지 터 | 현재 옛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그 자리에 교토조형예술대학 다카하라 학사가 자리 잡고 있다. 다카하라 학사는 행정구역상 교토시 좌경구 전중고원정 25번지와 27번지로 .. |
202 | 윤동주 | 일본 | 교토 윤동주 시비(도시샤대학) | 윤동주 시비는 도시샤(同志社)대학 재학시절 한글로 시를 짓고 송몽규와 함께 민족의식 앙양 및 조선 민족 계몽활동 등을 펼친 윤동주의 항일정신을 기려 1995년 2월 건립.. |
201 | 이두산 | 중국 | 구이린 《동방전우》 발행지 (시가원) | 《동방전우(東方戰友)》의 발행인 이두산(李斗山)은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의 간부였다. 《동방전우》는 조선의용대의 기관지인 《조선의용대통신》보다 6일 먼저인 1939.. |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