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통합 검색

전체메뉴

인물·사건별 사적지

세계 곳곳의 ‘독립운동사적지’를 찾아보세요!!

> 인물·사건별 사적지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통합검색

인물ㆍ단체ㆍ사건사적지명ㆍ주제어을 자유롭게 검색하신 후, 관련 국외독립운동 사적지를 살펴보세요.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통합검색

인물ㆍ단체ㆍ사건 사적지명ㆍ주제어 초성검색

인물ㆍ단체ㆍ사건ㆍ사적지명ㆍ주제어을 초성으로 검색하여,그와 관련된 국외독립운동 사적지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선택하신 초성 < > 에 대한 사적지는 총 48 건입니다.

번호 인물 국가 사적지명 설명
9 병학 인도네시아 고려독립청년당 반둥지구당(자바포로수용소 제1분소) 반둥포로수용소 제1분견소에서 근무하던 김만수ㆍ조남훈 등이 간접반항의 본보기로 포로들의 외부연락을 담당하였으며, 음식을 제공하여 영양실조에 걸린 화란계 포로들을 ..
8 백린 중국 베이징 제2회 보합단 터 제2 보합단(普合團)은 1921년 4~6월 경 박용만(朴容萬)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단장으로 박용만(朴容萬)·군임장 노백린(盧伯麟)·재임장 김창숙(金昌淑)·내무임장 신채호(..
7 병학 인도네시아 스마랑 고려독립청년당 결성지 세마랑(Semarang)주 수모워노(Sumowono)라는 고원지대이며, 이곳 사람들은 ‘깐풍(Kampung)’ 마을이라고 부른다. 네덜란드가 지배할 때부터 병영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일본..
6 월환 중국 시안 한국광복군 초모 활동지 터 (보계수용소) 보계수용소의 정식 명칭은 국민당 정부군 '제1포로수용소'이며, 원래 서안 종남산 경감사에 세워졌다가 1939년 초 보계현 위하 남쪽 약 10㎞에 있는 태인사로 옮겨졌다. 이..
5 월환 중국 시안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본부 터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1939년 11월 대장 나월환, 부대장 김동수, 군사조장 박기성, 정치조장 이하유, 선전조장 이해평 등 30여 명의 무정부주의 계열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4 병학 인도네시아 암바라와 고려독립청년당 의거지 (제2분견대) 인도네시아를 점령한 일본군들은 당시 성당을 자바포로수용소 세마랑분소 제2분견소로 사용하였다. 성당과 부속시설은 일본군들이 적성국 국민들을 가두는 억류소로 사용하..
3 성우 중국 옌지 창동학교 기념비 창동학교(昌東學校)는 북간도지역의 대표적인 민족교육기관의 하나였다. 설립시기는 1908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1935년 학교를 다시 세우면서 건립한 ‘사은기념비(謝恩記念..
2 자현 중국 하얼빈 남자현 묘 터 1933년 초 남자현은 동지 이춘기(李春基) 등과 ‘위만주국(僞滿洲國)’의 일본전권대사 무토 노부요시(武藤信義)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 무토 노부요시는 장춘(長春)에서 ..
1 중국 허룽 대종교 삼종사 묘 대종교의 삼종사인 백포(白圃) 서일(徐一)과 홍암(弘巖) 나철(羅喆), 무원(茂園) 김교헌(金敎獻)의 묘이다. 조그만 황토 구릉 위에 세 사람의 무덤이 있고, 무덤은 서쪽 허..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1 다음 페이지 블럭으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