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통합 검색

전체메뉴

교과서 속 사적지

교과서에 나오는 국외독립운동사적지를 확인해보세요!!

> 교과서 속 사적지

대한민국임시정부 중경 연화지 청사

국가 중국
주소 중경시 유중구 칠성강 연화지 38호
역사적 의의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중경에서 사용했던 네 번째이자 마지막 청사
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40년 9월 중경으로 옮겨온 뒤 입주했던 네 번째이자 마지막 청사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사의 홍구공원 투탄의거 이후 상해를 떠나 항주ㆍ가흥ㆍ진강ㆍ장사ㆍ광주ㆍ유주를 거쳐 1939년 5월 기강에 도착하였다. 중국국민당 정부의 도움으로 1940년 9월 중경으로 이전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전열을 재정비하고 항일독립운동에 전력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중경에서 석판가ㆍ양류가ㆍ오사야항ㆍ연화지 등 4개 청사를 사용하였다. 1945년 1월 이곳 연화지 청사로 옮겨왔다.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요인들은 1945년 8월 일제의 패망하기까지 이곳에서 활발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해방을 맞아 임시정부 요인들이 국내로 환국한 후 연화지 38호는 한동안 여관ㆍ학교ㆍ주택 등으로 사용되었다. 1994년 6월 독립기념관과 중경시 대외인민우호협회가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복원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95년 8월 11일 복원을 완료하고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 구지 진열관’을 개관하였다. 그러나 중경의 습한 환경으로 청사 건물이 일부 훼손되자 2000년에 다시 독립기념관의 협조 아래 건물의 전면 개ㆍ보수와 전시 내용을 보완하고 당해 9월 재개관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의 총 부지면적은 1300㎡, 건축 면적은 1770㎡이며, 다섯 동의 건물이 있다. 회색 벽돌에 기와지붕 양식으로 건축되었으며,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원형 그대로 복원하였다. 그중 전시실 면적은 284㎡(영상실 포함), 당시 현장을 복원한 21개의 방이 있다. 그 중 1호 건물(원 서무국ㆍ경위대ㆍ문화부ㆍ군무부ㆍ선전부)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을 소개하는 전시실이 들어서 있다. 2호부터 5호 건물은 임시정부 요원 및 각 정부기구 사무실을 복원해 놓았다.
2010년 중경시와 독립기념관의 지원을 받아 사천성 대지진의 영향으로 훼손된 3호와 5호 건물을 보수하였다.

목록으로 이동